- 게시글
- 작성일
- 좋아요
- 조회수
- 편도/아데노이드
- 2023.04.24
- 0
- 2,318
편도/아데노이드란?
편도는 목 안과 코 뒷부분에 위치해 있습니다. 흔히 편도가 부었다고 하면 목젖 양쪽의 편도를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, 이
부위에 있는 편도를 구개편도라고 하며, 코와 목구멍 사이에 안보이는 곳에 위치한 것을 아데노이드 및
이관편도라고 합니다. 편도는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는 세균, 바이러스 등을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. 하지만 반복적으로 감기 등을 앓을 경우 편도는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.
편도/아데노이드 질환과 증상
급성 편도염: 침도 삼킬 수
없을 정도로 목이 아프며, 발열, 오한, 두통, 근육통 등 증상이 있습니다.
만성 편도염: 급성 편도염이
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를 만성 편도염이라고 합니다. 목 이물감, 구취의
원인 편도결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편도&아데노이드 비대증: 편도와 아데노이드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면 우선 코로 호흡을 하지 못하고 입으로 호흡하게 됩니다. 구강 호흡이 지속되면 얼굴 성장에 영향을 주며, 부정교합의 원인이
됩니다. 또한 수면 중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이 발생해 깊은 잠이 어려워 성장에도 악영향을 끼칩니다. 또한 잦은 감기가 동반되거나 중이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편도/아데노이드 어떤 경우 치료가 필요할까!?
소아: 편도 비대로 인해 중이염, 축농증 등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잦은 편도선염으로 성장에 지장을 줄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. 수술은 만 3~4세 이후 편도/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합니다.
성인: 일 년에 4회 이상 심한 목감기가 걸리는 경우, 목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경우, 편도에 노랗고 딱딱한 결석이 끼고 입 냄새가 심한 경우, 코골이나 수면 중 무호흡이 심한 경우 수술을 받게 됩니다.
- 게시글
- 작성일
- 좋아요
- 조회
- 인후두 역류 질환
- 2023.05.08
- 0
- 36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