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게시글
- 작성일
- 좋아요
- 조회수
- ERCP적용
- 2025.04.12
- 0
- 89
● ERCP의 기본 원리와 적용
ERCP는 내시경과 X-선을 동시에 사용하여 담관과 췌관을 관찰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영상을 얻는 시술입니다. 이를 통해 담도와 췌장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, 동시에 치료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.
● 황달 환자에서 ERCP의 역할
진단적 역할: ERCP는 황달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 특히 담석, 담관 협착, 종양 등으로 인한 폐쇄성 황달의 경우, ERCP를 통해 병변의 위치와 성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치료적 역할: ERCP는 단순히 진단 도구에 그치지 않고 즉각적인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담석으로 인한 황달의 경우 ERCP를 통해 담석을 제거할 수 있으며, 담관 협착이나 종양으로 인한 폐쇄의 경우 스텐트를 삽입하여 담즙 배액을 도울 수 있습니다.
● 특정 질환에서의 ERCP 적용
담석성 황달: 총담관결석으로 인한 황달의 경우, ERCP는 선택적 치료 방법입니다. ERCP를 통해 담석을 제거함으로써 황달을 해소하고 담관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담관염을 동반한 황달: 급성 담관염 환자에서 발열, 복통,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, ERCP는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특히 간 효소 수치 이상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조기 ERCP가 권장됩니다.
악성 폐쇄성 황달: 췌장암이나 담도암으로 인한 악성 폐쇄성 황달의 경우, ERCP는 진단과 병기 설정, 그리고 고식적 치료에 사용됩니다. ERCP를 통해 종양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하고, 필요한 경우 스텐트를 삽입하여 황달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담석 췌장염: 황달을 동반한 담석 췌장염의 경우, 조기에 ERCP를 시행하는 것이 강력히 권장됩니다. 이는 담관 폐쇄로 인한 추가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● ERCP의 성공률과 합병증
ERCP는 높은 진단 및 치료 성공률을 보이는 시술입니다. 숙련된의료진에 의해 시행된 ERCP시술의 연구에 따른 성공률은 96.1%에 달합니다.
● ERCP시행 시 고려사항
ERCP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황달 환자에게 무분별하게 적용되어서는 안 됩니다. 시술의 필요성,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, 예상되는 이점과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행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. 특히 고령 환자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